J Korean Geriatr Soc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Geriatrics Society 2005;9(1):54-61.
Published online March 31, 2005.
Relations between Language Impairment and Functional Communication in Post-Stroke Aphasia
H I Shin, J W Park, Y S Jeong
실어증에서 언어능력과 기능적 의사소통의 상관관계
Abstract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elations between language impairment and functional communication as a disability in stroke aphasic patients.
METHODS
The subjects were 27 stroke patients with aphasia(17 men, 20 wemen). The Korean version of Western Aphasia Battery (K-WAB) was performed in all patients as a impairment level assessment. And also, the communication effectiveness index(CETI) and the amounts of communication(AC) were checked in all patients from their family or caregiver as functional activity limitation/ disability level assessment. The subunit data of the tests were analyzed with pearson's correlation test.
RESULTS
Among the subtest of the K-WAB, yes/no answer and acoustic word perception tasks in the auditory comprehension subtest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both social CETI and basic/social AC, and command following task in the auditory comprehension subtest and content talking component in the spontaneous speech subtest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ocial AC(p<0.01).
CONCLUSION
In the speech therapy for the stroke aphasic patients, the therapist uses various stimulation techniques. For the functional communication of the patients, the auditory comprehension task should be the 1st line method.
초 록

연구 배경: 실어증을 동반한 뇌졸중 환자에서 언어치료는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국제보건기구(WHO-ICF)의 장애 분류 개념을 고려하여 실어증을 동반한 뇌졸중 환자에서 신체적 장해(impairment)인 언어 능력과 기능적 장애(disability)인 의사소통의 각 항목별 상관관계를 연구하여 언어치료에 사용되는 다양한 언어자극 방법 중 의사소통 능력과 관련된 항목을 알아내어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법: 실어증을 동반한 27명의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언어 자극의 종류와 반응은 한국판 웨스턴 실어증 검사에서 사용되는 스스로 말하기, 알아듣기, 따라 말하기, 이름대기 등 4가지 범주의 10가지 자극기법을 사용하였다. 기능적 의사소통 능력은 의사소통 효율성 지수와 의사소통량 지수 등을 사용하였다. 또한 각각의 기능적 지수는 일상생활동작, 주의 끌기 등에 필요한 기본적 의사소통 능력과 낯선 사람과 대화하기 등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 항목으로 구분하였다.

결과: 알아 듣기 범주의 예/아니오 답하기, 청각적 낱말 인지 항목에서 사회적 의사소통 효율성 지수, 기본적/사회적 의사소통량 지수와 명령 이행 항목은 사회적 의사소통량 지수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스스로 말하기 범주의 내용 전달 항목은 사회적 의사소통량 지수와 상관 관계를 보였다(p<0.01). 그 외 유창성, 따라 말하기, 물건 이름 대기, 동물 이름 대기, 문장 완성, 문장 응답 항목은 기능적 의사소통 능력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p>0.01).

결론: 뇌졸중 환자에서 언어적 자극-반응 유발 기법을 사용한 언어 치료시 청각적 이해에 중심을 둔 과제를 사용하는 것이 청각적 기억, 단어 동원, 문장 동원 등에 중심을 둔 과제보다 기능적 의사소통 능력 회복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ABOUT
ARTICLE & TOPICS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TOPICS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401 Yuksam Hyundai Venturetel, 20, Teheran-ro 25-gil, Gangnam-gu, Seoul 06132, Korea
Tel: +82-2-2269-1039    Fax: +82-2-2269-1040    E-mail: agmr.editorial@gmail.com                

Copyright © 2024 by Korean Geriatrics Societ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