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Geriatr Soc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Geriatrics Society 2007;11(1):17-23.
Published online March 31, 2007.
Cholestatic Jaundice Associated with Juxtapapillary Diverticula without Common Bile Duct Stones
Soon Je Kim, Joon Ho Wang, Jae Dong Lee, Eon Soo Moon, Keung Re Kim, Tae Ui Lee, Hyuk Jung Kweon, Hyun Joon Sin, Keung Bin Rho
1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 KonKuk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Choogju, Korea. wangjoonho@kku.ac.kr
2Department of Surgery, KonKuk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Choogju, Korea.
3Department of Familiy Medicine, KonKuk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Choogju, Korea.
4Department of Radiology, KonKuk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Choogju, Korea.
5Department of Surgery, HanKuk Hospital, Chung Ju, Korea.
십이지장 유두주위 게실과 관련된 무담도성 담즙 정체성 황달의 임상적 고찰
Abstract
BACKGROUND
/AIMS: Cholestatic jaundice caused by a juxtapapillary diverticulum can be treated by excision of the diverticula or endoscopic sphincterotomy(ES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EST for cholestatic jaundice in patient with juxtapapillary diverticulum with absence of common bile duct stones.
METHODS
We recruited patients who underwent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 Pancreatography(ERCP) between September 2000 and May 2005. The presence of Juxtapapillary diverticula was seen in 92(29.3%)) out of 315 patients underwent ERCP. Cholestatic jaundice associated with juxtapapillary diverticula was considered when patients have jaundice, elevated serum bilirubin and alkaline phosphatase more than normal, and there are no other obstructive lesion on abdominal ultrasonography or computed tomography(CT) scan. The number of the patients were 13 who had cholestatic jaundice associated with juxtapapillary diverticula without common bile duct stones. All 13 patients underwent EST and had no complications. The patients were followed up to visit outpatient department or interviewed on the telephone.
RESULTS
Of the 13 patients, 10 were male and 3 were female. The mean age was 70.4 years and mean duration of follow-up were 28.9 months. All 13 patients who had gallbladder presented RUQ discomfort and jaundice. Seven patients presented gallstone pancreatitis with jaundice. Nine patients had GB stone, 1 patients had GB sludge. In the follow-up period, from 1month to 46 months after EST, 1 patient died of unknown cause within 1 year. One patient had recurred gall stone pancreatitis with jaundice 12 months later.
CONCLUSIONS
EST can be considered as a useful therapeutic modality especially in eldery patients with cholestatic jaundice and gallstone pancreatitis associated with juxtapapillary diverticulum.
Key Words: Obstructive jaundice, Juxtapapillary diverticula
초 록
목적: 십이지장 유두부주위 게실이 직접적인 원인이 되어 황달이 유발된 경우에 게실 절제술등 수술적인 치료를 할 수 있으며, 스텐트 삽입술 또는 내시경적 유두부괄약근절개술(Endoscopic sphincterotomy: 이하 EST) 등의 내시경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저자들은 ERCP(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를 시행하여 검사 당시에 담도 담석이 관찰되지 않았던, 유두부주위 게실과 관련하여 발생한 담즙 정체성 황달 환자 13명을 EST를 시행하여, 치료 결과를 추적 관찰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9월 부터 2005년 5월까지 건국대학교 충주병원에서 ERCP를 시행한 3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ERCP 시행 중에 십이지장 게실은 29%(92명)에서 관찰되었다. 폐쇄성 황달의 원인이 되는 담관 종양, 담관 협착증, 간내 담석증, 총담관 담석이 확인된 경우에는 대상에서 제외 시켰고, 과거에 췌담도 질환으로 수술 받았던 환자도 배제 되었다. 담즙 정체성 황달의 기준은 공막에 황달이 있고, 갈색뇨가 있으며, 생화학 검사 상에 alkaline phosphatase, 또는 gammaglutamyl transpeptidase(GGT), 혈청 총빌리루빈과 직접빌리루빈 등이 정상 이상으로 증가하였고, 복부 초음파 또는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황달을 일으킨 원인이 게실 이외에는 없었던 경우로 하였다. ERCP는 간 내 담관까지 조영한 후, 담도 담석의 유무를 확인하였고, EST 후에 바스켓과 풍선으로 총수담관 담석의 유무를 확인 하였다. 유관으로 확인되는 담석 또는 작은 담석 조각이 관찰되는 경우에는 대상에서 제외시켰으며, 유두염이 관찰되어 작은 담석이 빠져 나간 것이 의심되었지만, 검사 중에는 담도 담석을 관찰할 수 없었던 경우와 슬러지가 관찰되는 경우에는 연구에 포함시켰다. 연구 대상에 포함된 환자는 13명이었고, 추적관찰 방법은 외래를 직접 방문하거나 전화 통화를 이용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는 13명으로 남자는 10명, 여자는 3명이었다. 13명 모두는 담낭이 보존되어 있었고, 9명은 담낭 담석이 관찰되었으며, 1명은 슬러지가 관찰되었다. 평균 연령은 70.4세 이었으며, 추적기간은 평균 28.9(1-46)개월이었다. 13명 모두는 황달과 우상복부 통증이 있었으며, 7명은 황달과 췌장염이 동반 되었다. 12개월 후에 황달과 췌장염이 재발한 1명과, 원인 불명으로 사망한 1명을 제외한 11명에서는 황달과, 췌장염의 재발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특별한 원인없이 담즙 정체성 황달이 생긴 경우에는 유두부주위게실로 인한 담즙 정체성 황달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십이지장 유두부주위게실로 인한 합병증은 특히 고령에서 그 빈도가 높고, 수술 치료는 수술 합병증과 사망률이 높으므로 내시경적 유두절개술을 비교적 안전하고 유용한 치료로써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Line it
METRICS Graph View
  • 1,002 View
  • 5 Download
Related articles in
Ann Geriatr Med Res


ABOUT
ARTICLE & TOPICS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TOPICS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401 Yuksam Hyundai Venturetel, 20, Teheran-ro 25-gil, Gangnam-gu, Seoul 06132, Korea
Tel: +82-2-2269-1039    Fax: +82-2-2269-1040    E-mail: agmr.editorial@gmail.com                

Copyright © 2024 by Korean Geriatrics Societ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