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Geriatr Soc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Geriatrics Society 2005;9(2):138-145.
Published online June 30, 2005.
Changes of Serum Interleukin-6 & Interleukin-10 in Vertebrobasilar Insufficiency
Kwang Taek Ji, Bong Goo Yoo, Ji Hyun Lee, Min Jeong Kim, Kwang Soo Kim
Department of Neurology, Kosi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Busan, Korea. ybgne@ns.kosinmed.or.kr
추골기저동맥부전증에서 혈청 Interleukin-6 및 Interleukin-10의 변화
Abstract
BACKGROUND
A few studies have revealed increased levels of certain cytokines in patients with ischemic stroke. Cytokine changes have not been studied in patients with transient ischemic attack(TI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temporal profile of the inflammatory response in patients with vertebrobasilar insufficiency (VBI) and to compare the inflammatory response between TIA and infarction through analyzing serum interleukin(IL)-6 and IL-10.
METHODS
We serially measured the serum levels of IL-6 and IL-10 in 14 patients with VBI, 12 patients with vertebrobasilar territoy infarction, and 21 patients with lacunar infarction at the timing of admission, at 1 day after symptom onset, and at 5 day after symptom onset. Cytokines were measured by sandwich ELISA method.
RESULTS
The IL-6 level obtained at day 1 was significantly elevated compared with the normal control group in patients with TIA (p<0.05). The IL-6 level at day 1 was the highest in patients with VBI. The level of IL-10 in patients with VBI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normal group at all time points(p<0.05). The IL-10 level at the timing of admission was the highest in patients with VBI. But the serum levels of IL-6 and IL-10 between VBI and vertebrobasilar territory and lacunar infarction groups did not show any differences.
CONCLUSION
These findings show that pro- and anti-inflammatory cytokines in serum are elevated in patients with TIA. These results suggest that cytokine cascade occurs in TIA.
Key Words: Vertebrobasilar insufficiency, Interleukin-6, Interleukin-10
초 록

연구배경: 추골기저동맥부전증(vertebrobasilar insufficiency, 이하 VBI)은 일과성뇌허혈발작으로 뇌경색으로 진행할 수 있다. 급성 뇌경색의 진행과정에 급성 염증과정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염증 반응에 사이토카인이 중요한 매개 역할을 한다. 저자들은 VBI 환자의 혈청에서 interleukin (IL)-6 및 IL-10 농도를 측정하여 급성 뇌경색의 염증과정에서 일어나는 사이토카인의 일련변화가 VBI에서도 나타나는지 알아보고, VBI 환자의 혈청 내 IL-6 및 IL-10이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를 관찰하여 일과성뇌허혈발작시의 사이토카인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연구 대상은 발병 12시간 이내에 내원하고, 발병 24시간 이내에 임상적 증상과 증후가 완전히 회복된 14명(평균연령 64.2±11.6세, 남자 9명)의 VBI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IL- 6와 IL-10의 측정은 내원시, 발병 1일 후 및 발병 5일 후에 각각 채혈하여 Sandwitch ELISA 방법으로 하였다. 대조군은 13명의 정상군, 12명의 추골기저동맥계경색군 및 21명의 열공경색군 등으로 하였다.

결과: VBI군의 내원시, 1일 후, 5일 후에 측정한 IL-6 평균수치는 각각 14.58±4.16 pg/mL, 19.67±5.51 pg/mL, 14.64±3.66 pg/mL로, 정상 대조군 12.46±4.84 pg/mL에 비하여 1일 후의 수치만 유의하게 높았다(p<0.05). 또한 추골기저동맥계경색군은 1일 후, 5일 후, 열공경색군은 1일 후의 농도가 정상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VBI군의 내원시, 1일 후, 5일 후에 측정한 IL-10 평균수치는 각각 1.01±0.14 pg/mL, 0.83±0.22 pg/mL, 0.78±0.19 pg/mL로, 정상 대조군 0.48±0.36 pg/mL과 비교하여 모든 수치가 유의하게 높았다(p<0.05). 또한 추골기저동맥계경색군과 열공경색군도 모든 수치가 정상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그러나, VBI군과 추골기저동맥계경색군 및 열공경색군간 IL-10 및 IL-6의 직접적 비교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VBI군의 시간에 따른 IL-6의 변화는 발병 1일 후에 측정한 수치가 가장 높았다가 5일 후에는 감소하였고, 추골기저동맥계경색군과 열공경색군에서도 VBI군과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VBI군의 시간에 따른 IL-10의 변화는 내원시에 측정한 수치가 가장 높았다가 이후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그러나, 추골기저동맥계경색군과 열공경색군은 발병 1일 후에 내원시 보다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5일 후 다시 증가하여 최고치를 보였다.

결론: TIA에서도 뇌경색과 마찬가지로 IL-6가 급성기에 현저하게 증가하여 염증전구 반응이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IL-10의 변화는 TIA군은 지속적인 신경세포의 손상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항염증반응이 뇌경색군보다 적게 일어남을 추정해 볼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VBI같은 TIA환자에서도 염증전구반응과 항염증 반응과 관련된 사이토카인의 변화가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Line it
METRICS Graph View
  • 1,707 View
  • 7 Download
Related articles in
Ann Geriatr Med Res

A Case of Persistent Trigeminal Artery Presenting as Vertebrobasilar Insufficiency2008 December;12(4)



ABOUT
ARTICLE & TOPICS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TOPICS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401 Yuksam Hyundai Venturetel, 20, Teheran-ro 25-gil, Gangnam-gu, Seoul 06132, Korea
Tel: +82-2-2269-1039    Fax: +82-2-2269-1040    E-mail: agmr.editorial@gmail.com                

Copyright © 2024 by Korean Geriatrics Societ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