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Geriatr Soc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Geriatrics Society 1998;2(1):12-17.
Published online June 30, 1998.
Characteristics of elderly patients with Diabetic Ketoacidosis
Hae Seang Yim, Sung Hee Ihm, Hyun Kyu Kim, Doo Man Kim, Jae Myung Yoo, Moon Gi Choi, Byung Joon Yoo, Sung Woo Par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Hally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노인에서 발생한 당뇨병성 케톤산증의 임상적 특성
Abstract
BACKGROUND
Diabetic ketoacidosis (DKA) is usually thought of as a condition of young, insulin-requiring diabetic patients.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older adults with DKA have not been well characterized. To characterize the elderly patients with DKA, we described how DKA in the elderly differs from that in the young adults.
METHODS
We analyzed the clinical data of 112 patients who were diagnosed DKA for the first time from July, 1987 to June, 1997 at Hallym Univ. Sacred Heart Hospitals. We divided our patients into 3 groups according to the age at the first DKA and compar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DKA patients aged 65 or over with those of under 30 of age.
RESULTS
Forty-four patients were under 30 of age and 8 patients were 65 or over of age. The duration of DM prior to DKA was 11.9+/-3.0 years in the elderly gouty and 1.6+/-0.4 years in the young group, and the debut DKA's were 12.5% and 47.7%, respectively. The elderly patients were less likely to have been using insulin before DKA (12.5% vs. 74%). The most frequent precipitating factor of DKA was 'infection' in the elderly group (50%) and 'unidentifiable' in the young group (46%). The elderly group showed the higher arterial pH (7.22+/-0.03 vs. 7.09+/-0.02), bicarbonate (10.9+/-1.5 vs. 5.1+/-0.7 mEq/L), and serum fasting C-peptide (0.37+/-0.08 vs. 0.19+/-0.04 nmol/L) levels, and the higher mortality rate (25% vs. 2.3%) compared with the young group.
CONCLUSION
The elderly patients with DKA showed the longer duration of DM and less debut DKA's, the less previous history of insulin-treatment, the higher proportion of infection as precipitating (actors, the higher arterial pH, bicarbonate, and serum fasting C-peptide levels, and the higher mortality rate compared with the young patients with DKA.
Key Words: diabetic ketoacidosis, elderly, diabetes mellitus
초 록

배경 : 젊은 연령층과 노인층에 발생하는 당뇨병성 케톤산증 환자들간에는 임상적 및 병인론적으로 차이가 있을 것으로 추측되나, 노인층에서의 당뇨병성 케톤산증은 젊은 층에서보다 사망률이 높다고 알려진 것 이외에는 이의 임상상이나 경과에 대하여 거의 연구된 바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 나라 노인층에서 발생한 당뇨병성 케톤산증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87년 7월부터 1997년 6월까지 한림의대부속 성심병원에 입원하여 처음 당뇨병성 케톤산증으로 진단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첫 당뇨병성 케톤산증의 발병연령에 따라 만 30세 미만군(44명)과 만 65세 이상군(8명)으로 나누어 양군간 임상적 특성을 비교하는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결과 : 만 65세 이상군과 만 30세 미만군에서 당뇨병성 케톤산증 진단전 당뇨병의 유병기간은 각각 11.9±3.0년과 1.6±0.4년이었고, debut DKA는 각각 12.5%와 47.7%이었고, 당뇨병성 케톤산증 발병전 당뇨병을 진단받았던 환자들 중 인슐린으로 치료받았던 환자의 비율은 각각 12.5%와 74%이었다. 당뇨병성 케톤산증의 유발요인 중 뚜렷한 원인을 찾을수 없었던 경우와 감염이 차지하는 비율은 만 65세 이상군에서 25%/50%, 만 30세 미만군에서 46%/25%이었다. 검사실 소견상 만 65세 이상군은 만 30세 미만군보다 더 높은 동맥혈 pH (7.22±0.03 vs 7.09±0.02), 중탄산염치 (10.9±1.5 vs 5.1±0.7) 및 입원 중 공복 C-peptide치 (0.37±0.08 vs 0.19±0.04 nmol/L)를 보였다. 사망률은 만 65세 이상군에서 25%로 만 30세 미만군의 2.3%보다 높았다.

결론 : 노인층에서 발생한 당뇨병성 케톤산증의 경우 젊은 연령층에 비해 debut case는 적고 당뇨병성 케톤산증의 발생까지 당뇨병 유병기간이 더 길었고, 당뇨병성 케톤산증으로 내원시 동맥혈 pH 및 중탄산염 농도의 감소 정도가 덜하며 췌장의 인슐린 분비능이 좀더 보존되어 있으며, 감염과 같은 뚜렷한 유발요인에 의해 당뇨병성 케톤산증이 유발되고, 사망륭이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



ABOUT
ARTICLE & TOPICS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TOPICS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401 Yuksam Hyundai Venturetel, 20, Teheran-ro 25-gil, Gangnam-gu, Seoul 06132, Korea
Tel: +82-2-2269-1039    Fax: +82-2-2269-1040    E-mail: agmr.editorial@gmail.com                

Copyright © 2024 by Korean Geriatrics Societ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