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Geriatr Soc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Geriatrics Society 2005;9(2):121-127.
Published online June 30, 2005.
The Comparison of White Coat Effect in Elderly White Coat Hypertensive Patients with Youngers
Yong Hoon Kim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Korea. yhkim@kangwon.ac.kr
노인 백의 고혈압 환자에서의 백의 효과
Abstract
BACKGROUND
White coat hypertension is a common finding in hypertensive populations. The phenomenon of white coat hypertension may reflect an abnormally vigorous sympathetic response to the environment of the measurement, especially the presence of the measuring nurse or physician. The author evaluated the magnitude of the white coat effect in elderly white coat hypertensive patients compared to younger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38 white coat hypertensive patients(20 youngers, 18 olders) between May 2000 and April 2005. All patients had clinic blood pressure> or =140/90mmHg on at least 2 visits and systolic and diastolic 24-hour, daytime, night-time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were recorded.
RESULTS
1) The mean clinic systolic blood pressur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daytime ambulatory systolic blood pressure(r=0.472, p<0.05) in group A(< or =60 years old) and the mean clinic diastolic blood pressur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daytime ambulatory diastolic blood pressure(r=0.386, p<0.05) in group B(>60 years old). 2) In group B, daytime ambulatory diastolic blood pressure of male pati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females (male: 77.7+/-5.7mmHg, female: 74.1+/-4.5mmHg, p=0.041). 3) The magnitude of the white coat effect during systolic and diastolic periods was greater in the group B than group A (Group A: 28.9+/-10.4mmHg/13.3+/-7.9mmHg, Group B: 45.8+/-17.4mmHg/18.4+/-8.3mmHg, p>0.001/p=0.041).
CONCLUSION
The magnitude of the white coat effect in elderly white coat hypertensive patients was greater than the youngers.
Key Words: White coat hypertension, White coat effect, Ambulatory blood pressure monitoring
초 록

연구배경: 백의 고혈압은 고혈압 환자 군에서 흔히 발견되며, 그 빈도는 기준에 따라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 백의 효과(white coat effect)는 의사 혹은 타 의료인의 존재와 같은 외부적인 요소에 의해 교감신경이 비정상적으로 강력하게 활성화되는 것을 반영한다고 한다 이에 저자는 60세 초과의 노인 백의 고혈압 환자에서의 백의 효과의 특성을 60세 이하의 백의 고혈압 환자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2년 5월부터 2005년 4월까지 강원대학교병원 순환기내과를 방문한 환자 중 고혈압을 처음 발견하였거나, 고혈압 약물 치료를 받은 적이 없는 환자 3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60세 이하의 A군은 20명, 60세 초과의 B군으로 분류하였으며, 백의 효과는 진료실 수축기 혈압과 24시간 활동혈압 감시에서 측정된 주간 수축기 혈압의 차이가 20 mmHg 이상인 경우로 정의하였다.

결과:

1) A군에서 진료실에서 측정한 수축기 혈압의 평균과 주간 수축기 혈압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r=0.472, p< 0.05). B군에서는 진료실에서 측정한 확장기 혈압의 평균과 주간 확장기 혈압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r=0.386, p< 0.05).

2) A군은 진료실에서 측정한 혈압과 24시간 활동 중 측정한 혈압이 남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했으나, B군에서는 주간 확장기 혈압이 남자에서 유의하게 높았다(남자: 77.7±5.7 mmHg, 여자: 74.1±4.5 mmHg, p=0.041).

3) B군은 A군에 비해 백의 효과가 수축기와 확장기 모두에서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다(A군 28.9±10.4 mmHg/13.3±7.9 mmHg, B군 45.8±17.4 mmHg/18.4±8.3 mmHg, p<0.001/p=0.041).

결론: 노인 백의 고혈압 환자에서 백의 효과는 젊은 백의 고혈압 환자에서보다 수축기, 확장기 혈압 모두에서 유의하게 그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 환자에서는 진료실에서 측정한 혈압이 실제 측정한 혈압보다 과장될 수 있음으로 고혈압을 진단하는데 있어 신중을 기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Line it
METRICS Graph View
  • 1,697 View
  • 4 Download
Related articles in
Ann Geriatr Med Res

24 Hours Heart Rate Variability in Elderly Hypertensive Patients1997 October;1(1)



ABOUT
ARTICLE & TOPICS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TOPICS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401 Yuksam Hyundai Venturetel, 20, Teheran-ro 25-gil, Gangnam-gu, Seoul 06132, Korea
Tel: +82-2-2269-1039    Fax: +82-2-2269-1040    E-mail: agmr.editorial@gmail.com                

Copyright © 2024 by Korean Geriatrics Societ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